본문 바로가기

비상식적 성공 법칙

 

 

 

 

 

- 우선은 자신이 가진 악의 에너지를 활용해 단기간에 금전적으로 안정 궤도에 오른다

  그런 후 마음도 풍요로워지도록 필사적으로 노력한다

  즉 '돈'과 '마음'을 동시에 겨냥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 '돈'에 우선순위를 두고, 그런 다음에 필사적으로 '마음'을 연마하는 것이다

 

- 악의 감정은 인간의 본성이기 때문에 부정한다 해도 소용없다

  성공하고 싶다면 인정하자

  그리고 그 에너지를 망설이지 말고 활용하자

 

- 목표를 종이에 적으면 반드시 실현된다

  

- 성공하느냐 못 하느냐는 자신의 꿈, 소망, 목표를 종이에 적느냐, 적지 않느냐 단지 그 차이 밖에 없다

  하지만 그런 일은 있을 수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아무도 시도하지 않을 뿐이다

 

- 질문은 목적의식에 의해 만들어진다

  인생의 속도를 높이는 것 역시 어떤 목적의식, 즉 미션이 있을 때 가능하다

  미션은 뇌의 안테나를 세우고 필요한 모든 정보들을 수집한다

  특히 실현하고 싶은 것을 종이에 적어서 잠재의식에 목표로 입력시켜 놓으면, 뇌는 목표 실현에 필요한 정보들을 쉬지 않고 계속해서 수집한다

  뇌는 구조상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답을 찾아내게 되어 있다

  

- 우리는 반복되는 말, 자기 자신에게 하는 말, 그리고 다른 사람이 동조하는 말로 현실을 구축한다

  그러다 보니 주위 환경--어떤 사람을 자기 주변에 두는가--으로 자신의 현실도 바뀌어 버린다

 

- 기억은 뇌 속의 일부분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노벨상을 수상한 신경학자 제럴드 에델만 박사는 이렇게 말했다

  "기억은 뇌의 어느 일부분에 저장되는 게 아닙니다

  생각이 날 때마다 그 순간에 매번 재구축됩니다

  뇌 안에서는 시냅스와 시냅스가 서로 결합해 기억의 경로가 만들어지는 일밖에는 일어나지 않습니다

  그 신경회로에 전기 신호가 전달됨으로써 기억나는 것인데

  그 순간 순간마다 새로운 현실을 만들어내는 것과 같습니다"

 

- 밤에 잠들기 전에 목표를 적은 종이를 편안한 마음으로 읽어본다

  그리고 아침에 일어나 다시 한 번 더 읽는다

  이것만 하면 된다

 

- 실제로 기분 좋게 웃으면 시야가 넓어진다

  그러면 우뇌가 활성화되어 잠재의식에 명령 언어를 입력하기가 더 수월해진다

  기분 좋게 웃으면서 상상하는 것을 시각화라고 한다

  

- 당신이 이 책을 읽고 나서 당장 해야 할 일은 문구점에 가서 클리어 파일이나 바인더 노트를 사는 것이다

  그리고 이 책의 앞부분에서 찾아낸 당신의 목표를 클리어 파일에 정리하고 매일 아침저녁으로 읽는 것이다

  처음 얼마 동안은 외출할 때마다 클리어 파일을 가방에 넣고 다니길 추천한다

  클리어 파일을 가지고 다니면 매일 목표를 의식하게 된다

  아침 저녁뿐 아니라 낮 시간에도 뇌에서 목표를 의식하게 된다는 이야기다

 

- 목표를 날마다 설정할 때는 보다 평범한 목표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거창하거나 장기적인 목표만 세울 것이 아니라 몇 개월 혹은 1개월 이내에 달성할 수 있는 단기 목표를 세우는 것이다

  장기 목표와 단기 목표를 균형 있게 조절해 설정하면 좌절하지 않고 목표 달성을 향해 나아갈 수 있다

  이때 중요한 것은 단기 목표를 설정하는 방법이다

  SMART 원칙은 단기 목표를 순조롭게 달성하는 데 뛰어난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 S(Specific) 구체적이다

- M(Measurable) 예측 가능하다

- A(Agreed upon) 동의하다 

- R(Realistic) 현실적이다

- T(Timely)  기일이 명확하다

 

- 목표 설정 방법을 이해했다면 이제부터는 그 목표들을 매일 밤 수첩에 10개씩 적는다

  이 작업을 통해 우리는 목표를 보다 확실하게 달성하고 기간도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목표의 우선순위를 정하자

 

- 자신의 에너지를 집중적으로 써야 할 단 하나의 목표에 한 걸음이라도 더 가까이 다가가려면 오늘 무엇을 해야 할까?

  아무리 사소한 행동이라도 상관없다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일을 적는다

 

- 아무리 훌륭한 성공 법칙을 배워도 자기 자신을 평범하다고 생각하면 성공할 조짐이 보여도 알아차리지 못한다

  결실을 얻기 시작해도 단순한 우연으로 생각하고 만다

  다른 사람들이 대단하다고 해도 "뭘요, 아니에요"하며 오하려 성공하기 시작한 자신을 부정한다

  성공을 향해 변화하기보다 이전 그대로의 자신을 유지하는 게 마음 편하기 때문이다

 

- 당신의 CPU는 무엇인가? 바로 셀프 이미지다

  '내가 생각하는 나' 말이다

  셀프 이미지가 과거 그대로라면 아무리 훌륭한 목표를 세워도 실현할 수가 없다

  자기 스스로 평범한 사람이라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한 당신은 성공할 수 없다

 

- 직함을 만들 때 핵심 포인트는 슈퍼OOO 라는 식으로 자신의 결점에 휘둘리지 않는 인물상을 표현하는 것이다

 

- 큰 성공을 이룬 자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경영은 센스이며, 이는 후천적으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한다

  솔직히 말해서 보통 사람은 노력해봐야 헛수고라는 얘기다

  그런데 그런 경영자들에게 타고난 센스를 어떻게 얻었냐고 물어보면 하나의 공통점을 발견하게 된다

  바로 '책을 많이 읽는다'는 것이다

 

- 뇌의 구조를 감안하면 지적 작업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정보를 다운로드받은 후 반드시 휴식을 취해야 한다(20분 가량)

  그 주제에서 벗어나 긴장을 풀고 잠시 쉬면 자연스럽게 아이디어가 떠오른다

  그러면 회의가 빨리 끝날 뿐만 아니라 아이디어의 질 또한 차원이 다르게 훌륭해진다

 

- 영업의 원칙은 마케팅으로 고객을 확보한 다음 세일즈로 고객을 잘라내는 것이다

 

- 세일즈의 목적은 상대방을 설득하는 것이 아니다

  상대방이 구매할 확률이 높은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따라서 세일즈맨은 구매할 확률이 높은 고객에게만 시간을 할애하고, 구매할 확률이 낮은 고객은 지체하지 말고 거절해야 한다

 

- 부탁하는 영업은 하지 않는다

  가능한 빨리 NO라는 대답을 듣는다

 

- 돈을 컨트롤하기 위한 3가지 원칙

  1. 돈에 대한 죄악감을 갖지 않을 것

  2. 돈이 들어오는 흐름을 만들 것

      나가는 흐름을 만들어서는 안 된다

  3. 나의 연 수입은 내가 결정할 것

 

- 돈에 대해 죄악감을 느낀다면 절대로 돈을 벌 수 없다

  돈을 벌기 시작하는 순간 자기 스스로 제동을 걸어 버리기 때문이다

 

- 우선 돈을 벌어라

  돈을 벌고 나서 그 돈으로 정의감을 가지고 사회에 공헌하라

 

- 지난달보다 이번 달 은행 잔고를 늘린다

  매월 잔고가 늘어가는 것을 사수하는 것이다

  단돈 1000원이라도 좋으니 돈이 들어오는 흐름을 만들어야 한다

  나가는 흐름보다 들어오는 흐름을 더 많이 만들어야 한다

  하루라도 빨리 만들지 않으면 안된다

  나가는 흐름을 만들어버리면 그것이 습관이 되어 결국에는 그 흐름을 바꾸기 어렵기 때문이다

 

- 돈은 돈이 있는 곳으로 모인다

  이것이 돈의 습성이다

 

- 돈은 곳 에너지다

  돈이 자꾸 나가면 에너지는 떨어진다

 

- 잠재의식의 힘은 대단하다

  잠재의식에 각인되는 것은 자동으로 일어나고야 만다

 

- 급여는 '받는 것'이 아니라 '버는 것'

  자신의 연 수입은 자신이 결정할 수 있다

 

- 결국 사람은 자신이 생각하는 대로 된다

  연 수입조차 자신이 결정할 수 있다

  연 수입을 자신이 정하지 않기 때문에 벌지 못하는 것이다

  그렇게 연 수입을 벌려고 하지 않기 때문에 바라지도 않는다

  연 수입을 번 후에는 그보다 더 많이 벌 수 있는 일을 하지 않기 때문에 그 연 수입도 유지하지 못하는 것이다

 

- 내가 생각하는 대로 이루어진다면 연 수입 1억원을 받는다고 정하는 게 좋겠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나는 연 수입 1억 원이라고 적은 종이를 양복 주머니에 넣고 다녔다

  나의 잠재의식에 1억 원을 각인시키기 위해서였다

 

- 성공 법칙을 배우면 긍정적으로 사고할 수는 있다

  그런데 성공하기 위해서는 사고만으로는 부족하다

  행동하지 않으면 안 된다

  성공하면 좋겠다는 마음은 누구나 있다

  하지만 성공하면 좋겠다와 성공을 향해 행동한다 사이에는 커다란 차이가 있다

 

- 행동만이 현실을 바꾼다

  행동하는 사람은 목표를 실현할 확률이 비약적으로 높아진다

 

- 스토리를 활용해 발상을 넓히고 행동으로 옮겨야 할 단계와 나아가야 할 과정 등을 명확히 해두는 것이다

  벽에 막혀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상태는 미래로 이어지는 과정이 보이지 않을 때 일어난다

  따라서 미래로부터 역산해 현재의 행동을 결정하면 벽에 막히는 상황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런 연습을 하다 보면 행동력이 따르는 시나리오를 짤 수 있게 된다

  행동은 머리에 그려진 이미지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반대로 말하면 머릿속에 이미지가 없는 것은 실행으로 옮길 수가 없다

 

- "Trust yourself"

 

 

 

 

추천 도서 

- <머피의 성공 법칙>

  -> 종교적 색채가 강해 요약만 보겠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어를 디자인하라  (0) 2022.12.10
내가 알고 있는 걸 당신도 알게 된다면  (0) 2022.12.09
보도 섀퍼의 이기는 습관  (0) 2022.11.21
마음의 주인  (0) 2022.11.17
말의 품격  (0) 2022.11.17

Tiny Star